1.
1-1. 브라우져가 웹서버에 인자(파라미터)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.
1-2. GET은 URL에 파라미터를 위치시킨다
1-3. POST는 파라미터는 HTTP 연결 안의 요청에 추가된다.
1-4. GET은 42라는 인자를 URL뒤에 붙여서 전달한다.
1-5. POST는 보이지 않는 부분에 숨겨져서 보내진다.
2.
2-1. 포스트는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변형될 때 사용된다.
2-2. 겟은 찾거나 검색할 때 사용된다.
2-3. 웹 스파이더는 GET URL을 일반적으로 따른다.
2-4. GET URL은 idempotent(멱등, 연산을 아무리 수행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음(새로고침))여야 한다. 즉 같은 URL은 같은 결과를 줘야 한다.
2-5. GET의 경우 길이의 제한이 있다.
'2019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(빅데이터) > PYTHON 공부 - PY4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래스란 무엇인가 (0) | 2019.07.25 |
---|---|
PY4E: Chapter 15 Worked Example: Twspider.py (0) | 2019.07.18 |
PY4E - Chapter 13 Twitter API (트위터 API를 이용한 크롤링) (0) | 2019.07.18 |
PY4E - Chapter 15 Database, Many to many (3) (0) | 2019.07.14 |
PY4E - Chapter 15 Database (2) (0) | 2019.07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