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아파치에서 리눅스용 파일의 링크를 알아 놓은 후에, 링크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를 받았고, gz형태의 파일을 압축을 해제 하였다.
1-1. "sudo -s"로 관리자 권한에 접근
1-2. "adduser webroot"로 webroot 유저 생성
1-3. "cd /home" 이동
1-4. "ls -al"로 전체 보기
2.
2-1. drwxr-xr-x
root/groop/user
r = read
w = write
x = execute
2-2 su - webroot
web root로 갈아타기
3.
pwd : 위치확인
whoami : 사용자확인
ls -a
ls -al 권한확인
tar xzvf apache-tomcat-8.5.43.tar.gz : tar파일을 x:압출풀기 z: zip파일로 되어 있음. vf:는 압축 푸는 상태를 보여줌
4. mv apache-tomcat-8.5.43 tomcat : 파일 이름 바꾸기
cd tomcat : 폴더 이동
bin/startup.sh 로 파일 실행.
cvi conf/server.xml vi conf/server.xml
vi는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, 메모장을 연 것과 똑같다.
/8080을 치면 텍스트를 찾을 수 있다.
port를 insert를 누르고 80으로 바꾸고 esc를 누른다
shift + :를 누른 뒤 wq(write quit) q!(무조건 q)을 한 후 나오면 끝.
엉성하게나마 우분투와 리눅스에 대해서 접해볼 수 있었다.
리눅스를 사용하게 된다면, 리눅스 명령어에 대해서는 공부해 놓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.
어떤 운영체제 위에 서버를 만들까?
각각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?
여러가지 의문이 생기지만 오늘은 여기까지.